은하수[銀河水]

INDEX 함수

2020. 1. 27. 14:14

표의 값을 알고 싶을 경우 INDEX 사용

어떤 값을 정리할 때 표를 많이 사용합니다. 이렇게 잘 정리된 표에서 특정 값을 알고 싶거나 표시하고 싶은 경우에 INDEX 함수를 사용합니다. INDEX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다른 함수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표예시

INDEX 함수 설명

INDEX( ①, ②, ③ )


INDEX 함수는 3개의 인수를 가지고 있으며, 지정한 범위에서 행과 열 번호에 의하여 지정한 범위 내의값을 가지고 와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. 인수에 대한 설명이 다소 딱딱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아래 예제를 이해한다면 여기에 작성한 놓은 인수 설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
① array : 값을 구하기 위한 범위를 입력합니다.

② row_num : 범위에서 값을 구하기 위한 행 번호를 입력합니다.

③ column_num : 범위에서 값을 구하기 위한 열 번호를 입력합니다.

INDEX 함수 예제

엑셀 함수는 위의 설명보다는 예제를 통해서 직접 사용해보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.

예제파일 : INDEX 예제.xlsx

구구단표

노란색(A2와 C2)에 값을 입력하면, INDEX 함수를 사용하여 구구단표에서 결과값을 가지고 와서 E2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E2=INDEX(H2:P10,A2,C2)를 입력합니다.


E2에 작성한 =INDEX(H2:P10,A2,C2)를 설명해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.

셀에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맨 앞에 =를 입력하고 다음에 함수 등을 입력하면 됩니다.

위에서 설명한 INDEX( ①, ②, ③ ) 함수는 3개의 인수를 입력해야 합니다.

① 인수 : 을 구하기 위한 범위를 입력합니다. 구구단표에서 값을 구하기 위한 범위는 H2:P10입니다.

② 인수 : 구구단표에서 값을 구하기 위한 행 번호를 입력하는데 여기에서는 셀 주소 A2에 행 번호를 입력합니다.

③ 인수 : 구구단표에서 값을 구하기 위한 열 번호를 입력하는데 여기에서는 셀 주소 C2에 열 번호를 입력합니다.


오류 발생 사항


▶ row_num(행) 또는 column_num(열)의 값은 배열 내의 셀을 가리켜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#REF! 오류 값이 발생합니다.

▶ row_num(행) 또는 column_num(열)의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  #VALUE! 오류 값이 발생합니다.

▶ row_num(행) 값이 0인 경우 첫 번째 행의 셀 값이 표시됩니다.

▶ column_num(열) 값이 0인 경우 #VALUE! 오류 값이 발생합니다.

'IT > 엑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오늘 날짜 및 현재 시간 입력 단축키  (0) 2020.01.29
MATCH 함수  (0) 2020.01.28
VLOOKUP 함수 단점  (0) 2020.01.26
상대 참조 및 절대 참조  (0) 2020.01.25
엑셀 VLOOKUP 함수  (1) 2020.01.23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